한글에서 글자수 세기

여러분은 한글 글자수 세기를 할 때 어떻게 하나요?

얼마 전까지만 해도 저는 네이버 글자수세기를 이용했는데요 한글 2016에서도  간단하게 글자수 확인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라고요.

게다가 문서 내에서 낱말 개수 혹은줄 수는 몇 개인지,

문단이나 쪽수까지도 확인 가능하답니다.

이렇게 유용한 기능이 있는 줄 첨 알았네요. ( 사실 뭐 대단히 어려운 기능이 아니라서 관심을 가져본 적조차 없었네요.)

지금부터 한글에서 글자수 확인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글자수가 궁금한 글을 한글 문서로 불러들이거나 복사해서 붙입니다.​

한글 글자수 세기를 하려면 상단 메뉴에서 ‘파일(F)’ – ‘문서 정보’로 들어갑니다.

그럼, 창이 하나 뜨고 일반/요약/글꼴이나 그림 정보와 같은 탭이 보입니다.

이 중에서 “문서통계” 탭을 엽니다.

딱하니 글자수가 xxx자 라고 표시가 나옵니다.

그리고, 그중에서 낱말은 xxx개, ##줄, #문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문서의 통계를 알려줍니다.

단순히 글자수 세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줄수, 문단 갯수까지 알려주니 유용하죠?

전 그냥 단순히 복사해다가 붙여넣기만 하고, 처음부터 작성한 것도 아닌데  척척 알아서 통계를 내 주니 아주 편리하군요.

최신 버전의 한글인 2016에서는 공백 포함 혹은 제외 별로 확인 가능하답니다.

오늘은 한글 글자수 세기 방법에 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.

쉽고 간단하고 참 별 것 아니죠?

단순히 문서 안에서 글자 수가​ 몇 개인지만 알수 있는게 아니라 줄수 , 문단수 등의 다양한 통계 정보를 알 수 있어서 좋은 거 같습니다.

오늘은 날씨가 좀 흐리고 먹구름이 꽉 끼인게 여기저기 비 소식이 있네요.^^

오늘 하루 남은 시간도 행복하게 보내세요~

 

 

 

Leave a Comment